➕ 전시 + 아트뉴스

제8회 대구사진비엔날레 Hidden Exhibition in Seoul 누락된 의제 - 오디세이, 포스트-코로나로 가는 길목에서 || 서울대학교

세상의 모든 예술 아트하트 2021. 9. 11. 19:48
728x90
반응형

세상의 모든 예술 아트하트 전시회



<제8회 대구사진비엔날레
Hidden Exhibition in Seoul 누락된 의제
- 오디세이, 포스트-코로나로 가는 길목에서> 전시회가 9월 10일 부터 11월 2일까지 서울대학교 미술관에서 개최된다. 《누락된 의제 - 오디세이, 포스트-코로나로 가는 길목에서》전은 제8회 대구사진비엔날레의 연장이자 그 뿌리에서 비롯된 독립된 분신으로 현 세계를 대하는 상황인식과 현대사진에 대한 문제 의식을 조명한다.


전시 포스터



전시명 : 제8회 대구사진비엔날레 Hidden Exhibition in Seoul 누락된 의제 - 오디세이, 포스트-코로나로 가는 길목에서
전시기간 : 2021.09.10 - 2021.11.02
전시장소 : 서울대학교 미술관 전시실 1-4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1 서울대학교미술관)
관람시간 : 화요일-일요일 10:00-18:00 (입장마감 17:30)
월요일, 개교기념일(10월15일), 1월 1일, 구정 당일, 추석 당일, 전시준비기간은 휴관입니다.
전시규모 : 사진, 영상 100여 점
전시작가 : 구성수, 김규식, 마사 로슬러, 멜라니 풀런, 백승우, 브루노 조르잘, 얀 밍가드, 어윈 올라프, 원성원, 임안나, 조지 오소디, 정주하, 파브리스 몬테이로, 피파 바카
관람료 : 무료
문의 : 02-880-9504




제8회 대구사진비엔날레 Hidden Exhibition in Seoul 누락된 의제
- 오디세이, 포스트-코로나로 가는 길목에서

오늘날 우리가 당면한 코비드 19 팬데믹 사태는 이 시대와 국제사회가 ‘정상’으로 규정해온 것들에 대한 인식의 근본적인 전향을 촉구하는 징후적 사건입니다. 2020년, 바이러스가 현 문명의 시스템에 잠정적 중단을 종용했을 때, 비로소 그간의 오만과 편견으로 누락했거나 간과했던 의제들이 시야에 들어옵니다. 되풀이되는 전쟁과 테러, 국경 사이에 낀 난민, 되살아나는 인종차별, 제국의 망령, 사회경제적 양극화와 약탈당한 생태계…, 탄식과 절규가 누락되어선 안되었을 《누락된 의제 – 37.5 아래》(Missing Agenda)를 제8회 대구사진비엔날레의 주제로 삼도록 했습니다.
《누락된 의제 - 오디세이, 포스트-코로나로 가는 길목에서》전은 제8회 대구사진비엔날레의 연장이자 그 뿌리에서 비롯된 독립된 분신입니다. 장소는 다르지만, 현 세계를 대하는 상황인식과 현대사진에 대한 문제의식만큼은 다르지 않다는 의미입니다. 제8회 대구비엔날레 주제전 《누락된 의제 - 37.5 아래》전과 서울대학교미술관의 《누락된 의제 - 오디세이, 포스트-코로나로 가는 길목에서》전은 이를테면 ‘일란성 쌍생아(identical twins)’와도 같은 셈인데, 이는 장소의 배증이자 분할로서 특별히 두 측면에서 현재의 코비드 상황에 대한 큐레이터십의 응답이자 전략적 대응이기도 합니다. 첫째는 물리적 이동이 제한되는 부득이한 상황에서 소통망의 확보와 확장, 둘째는 전시 콘텐츠의 공유를 통한 엔트로피 증가의 억제라는 측면에서 그렇습니다. 전시를 구성하는 14명의 작가 가운데 8명은 대구사진비엔날레 주제전과 동일합니다. 반면, 6명의 작가는 서울대학교미술관의 독립적인 큐레이팅의 결과입니다. 두 전시 모두를 볼 수 있다면 이상적이겠지만, 부득이 대구문화예술회관이나 서울대학교미술관 전시 둘 중 하나의 감상만 가능하더라도, ‘누락된 의제’라는 큰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것이 허락될 수 있을 것입니다.
앞서 언급한 두 전시의 공학적 상응성 만큼 겉으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두 전시의 신경망을 아우르는 또 하나의 핵심개념(key concepts)이 있습니다. ‘여정(Journey)’과 호머의 시에 나오는 ‘오디세이의 귀향(Odyssey's Homecoming)’이 그것입니다. “인생이라는 여정의 한 가운데 이르러서야 비로소 자신이 어두운 숲속에 서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는 단테(Alighieri Dante)의 고백이 팬데믹 사태를 맞고 있는 현 문명의 현상학적 바닥을 짚는데 있어 시금석이 되리라는 인식이 두 전시의 서사적 흐름과 동선을 이끄는 개념적 기제가 되었습니다. 이런 맥락에서라면, 작금의 팬데믹 상황은 이 문명이 세이렌 자매가 사는 바위 옆을 지나거나 분노한 포세이돈의 풍랑에 잠시 표류하는 것일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즉 그런 비유가 ‘여전히’ 의미 있는 것이라면, 이 비틀거리는 문명의 궁극, 이를테면 오디세우스의 이타카섬은 어디일까요? 인생만큼이나 문명의 부침도 그 시작과 끝 사이의 충분히 알려지지 않은 여정입니다만, 우리는 묻고 또 묻습니다.
현대사진에 관하여서는 세계와 그 앞에서의 역사와 상황인식으로 담금질 된, 변증적인 성찰적 사유에서 비롯되는 사진 미학에 대해 말하고 싶습니다. 진실의 누락이나 은폐, 조작을 정당화하거나 가담하는, 미학적 치장이나 치장으로서의 미학은 허용하지 않으리라는 의지에 의해 조율되는 사진 행위, 지하 갱도의 카나리아 같이 불의와 폭력에 가장 먼저 반응하는 의식의 결과물로서의 사진 말입니다. 한 가지 분명한 것은 그것이 자신을 정당화하거나 특권화하거나 하는 범주개념에 사로잡히고 싶은 욕망을 충분히 경계할 줄 아는 지식에 의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부디 《누락된 의제 - 오디세이, 포스트-코로나로 가는 길목에서》전이 그러한 의미로 잘 작동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심상용 서울대학교미술관장



 

반응형

 

 







자료 : 서울대학교 미술관 @snu.moa / www.sunmoa.com
ⓒ 세상의 모든 예술 아트하트 ARTHEART


세상의 모든 예술 아트하트 || 전시회
(서울 무료전시 추천)

제8회 대구사진비엔날레 Hidden Exhibition in Seoul 누락된 의제 - 오디세이, 포스트-코로나로 가는 길목에서


728x90
반응형